전략적 기획의 개념
전략적 기획은 앞서 살펴본 전략과 기획을 합친 개념이지만 단순한 복합어 이상의 의미가 있다. 전략적 기획은 매우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는데 전략적 기획에 대한 몇가지 정의를 보면 다음과 같다.
- 브라이슨(Bryson, 2017) : “전략적 기획은 조직이 무엇인지, 조직은 무엇을 하는지 그리고 왜 하는가를 형성하고 인도하는 근본적인 의사 결정과 행동을 생성하기 위해 심사숙고하는 훈련된 접근방법이다.” “전략적 기획은 조직의 리더와 관리자가 무엇을, 어떻게, 왜 해야 하는지를 명확하게 하는 것을 도울 의도를 가진 ‘아는 방법(way of knowing)’으로 생각할 수 있다.”(Bryson, Crosby, & Bryson, 2009).
- 굿스타인, 놀란과 페이퍼(Goodstein, Nolan, & Pfeiffer, 1992): “전략적 기획은 조직의 지도층이 조직의 미래를 결정하고, 조직의 미래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절차와 운영 방침을 개발하고, 그의 성공 여부를 측정하는 방법을 결정하는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과정이다.”
- 앨리슨과 케이(Allison & Kaye, 2005): “전략적 기획은 조직이 그의 임무를 달성하는 데 핵심이 되는 우선순위에 대한 합의-이로써 주요 이해관계자 간에 실질적 참여를 구축 -를 통해 조직환경에 대응하는 체계적 과정이다.”
- UN: “전략적 기획은 미래를 내다보고, 조직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해 트렌드와 이슈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 OFM(2018): “전략적 기획은 기관이 주어진 기간 동안 달성하고자 하는 것과 이를 수행하는 방법을 결정하는 프로세스이다.”
- GPRA Modernization Act 2010 : “전략 계획은 기관 임무, 장기 목표, 계획된 전략과 기관의 임무와 관련된 특정 국가 문제, 요구사항, 도전 및 기회를 다루는 진행 상황을 모니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접근 방법으로 정의된다.” 전략계획은 기관이 달성하고자 하는 일반적이고 장기적인 목표, 그러한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기관이 어떠한 조치를 하고, 결과 달성에 장애가 되는 도전과 위험을 어떻게 다룰 것인지를 기술한다.
여러 학자의 개념을 통합하면 전략적 기획을 “조직이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조직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목적, 목적 달성의 수단, 성과측정에 관해 결정하고 행동하는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학습 과정”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전략적 기획의 특징
전략적 계획에 대하여 연구자에 따라서 서로 다르게 정의하고 있지만, 전략적 기획을 설명할 때 전략적 기획이 가지는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는 것을 보면 다음과 같다.
- 전략적 기획은 목표지향의 활동이다.
전략적 기획은 조직이 존재하는 이유인 임무와 조직이 기대하는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목표지향적 활동이다. 전략적 기획은 바람직한 미래의 상태인 목표를 강조하기 때문에 시관에서 미래지향적이다. 그러나 전략적 기획은 미래의 결정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의사 결정과 행동이 가지는 미래의 의미를 평가하고자 한다(Koteen, 1989). 특히 전략적 계획은 단순히 목표를 중시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목표 간의 연계성을 강조한다. 전략적 기획의 목표 지향성은 전통적 관리 방법인 투입 중심이 아닌 결과중심, 성과중심에 초점을 둔다.
- 전략적 기획은 신축적인 관리 도구이다.
공공부문의 전략계획은 통일된 하나의 관리 기법이 아니다. 전략적 기획은 기본 가설로 조직을 관리하기 위한 유일 최고의 방법은 없다는 생각을 바탕으로 한다. 공공부문의 전략계획은 특정 상황에서 민감하고 우발적으로 적용되어야 하는 개념, 절차, 도구 및 관행에 대한 것이다. 전략적 계획에는 다양한 일반적 접근법이 존재하며, 이들 사이의 경계는 명확하지 않으며, 실제 전략 계획은 다양한 관리개념이 혼합된 하이브리드이다(Bryson, et al., 2018; Ferlie & Ongaro, 2015). 전략적 기획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전략-능력-성과 가설에 의하여 전략은 환경의 소용돌이에 적합해야 할 뿐만 아니라 조직의 능력이 그 전략에 적합해야 성공할 수 있다.
- 전략적 기획은 우선순위를 강조하는 관리 활동이다.
전략적 기획은 조직의 임무와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해야 할 것과 나중에 해야 할 일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이를 실행함으로써 정부의 한정된 자원의 효율성을 확보하는 관리 활동이다. 전략적 기획은 모든 것을 다하는 것이 아니라 치료를 위해 한방에서 인체의 경혈을 누르거나 찔러서 환부에 결정적인 영향을 가하는 것과 같이 선택과 집중의 논리에 의한 문제 해결 과정이다. 전략적 기획은 이를 통하여 자원의 획득과 배분에 지침을 준다.
- 전략적 기획은 조직 지도층의 활동 과정이다
전략적 기획은 주로 조직의 최고관리자를 포함한 핵심 계층이 중심이 되어 운영된다. 이에 전략적 계획을 조직의 리더가 미래에 대한 비전을 결정하고 조직의 목적과 목표를 확인하는 프로세스라고 정의하기도 한다. 조직의 지도 계층을 구성하는 핵심 계층은 조직의 최고관리자 이외에 각 기능부서 및 사업조직의 장뿐만 아니라 조직을 구성하는 각 계층의 핵심 요원도 포함된다. 과거 기획이 참모의 역할을 강조한 데 비하여 전략적 기획은 계선이 중심이 되고 기획전문가는 이들에 대한 자문가의 역할을 요구한다. 그러나 전략적 기획이 지도층 리더십의 판단을 대체하는 것은 아니다. 전략적 기획은 조직의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들의 직관, 추론 기술, 판단을 지원해 준다.
- 전략적 기획은 체계적이다.
전략적 기획은 전략의 성공은 하나의 구성 요소에 의하기보다는 다양한 구성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한다는 복합 구성 요인의 능력 가설을 바탕으로 한다. 전략적 기획은 이러한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다(Mintzberg, 1994). 전략적 기획은 시스템적 시각에 의하여 하위 구성요소 간의 상호관계를 포함하여 전체 시스템의 역학 관계에 대하여 이해하고자 한다. 전략적 기획은 단순히 전략 계획서를 만드는 활동이 아니다. 전략적 기획은 목적 달성을 위해 다양한 구성 요소-환경, 목적과 목표, 자원, 이해관계자, 전략, 집행 요소, 평가 등-를 연계하는 체계적 과정이다. 특히 전략적 기획은 환경과 관계에서 개방 체계적이고 맥락적(contextual)이다. 전략적 기획은 시스템의 기본 특징인 환류 기능을 강조하는 지속적이고 순환적인 과정이다. 이에 의하여 전략적 기획은 모니터링과 평가를 통한 환류의 역할을 중시한다.
- 전략적 기획은 환경을 중시한다.
전략적 기획은 환경이나 맥락이 주는 기회를 조직이 가지는 강점으로 극대화하고 환경의 위협과 조직의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손자병법」의 지피지기(知彼知己) 논리를 중시한다. 전략적 기획은 내적인 강점과 약점, 외적인 기회와 위협에 초점을 두고 기회를 조직의 강점으로 극대화하는 데 초점을 둔다. 전략적 기획은 조직의 성과는 조직 내부의 관리만큼 조직환경과의 관계에 의해 결정된다고 본다. 이에 전략적 기획은 역동적이고 때로는 적대적인 환경에 가장 잘 적응하는 방법을 선택하고자 한다.
- 전략적 기획은 거버넌스와 참여를 요구한다.
오늘날 전략적 기획은 통치 거버넌스를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요소 간의 협력과 조정을 강조하고, 시민과 이해관계자의 참여(engagement)를 강조한다. 공공부문의 전략적 기획은 부서 간의 조정과 협력, 부서 간의 우선순위 결정을 비롯하여 전략적 기획과정과 성과관리에 시민과 이해관계자의 참여와 협력을 강조한다. 이는 공공조직의 전략적 기획이 가지는 정치적 속성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다 (Bryson, Crosby, & Stone, 2015).
- 전략적 기획은 학습과정이다.
전략적 기획은 생각하고, 행동하고 학습하는 방법이다(Bryson & Alston, 2004). 전략적 기획은 단순히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략 계획서를 만드는 것 이상의 의미가 있다. 전략적 기획은 계획서보다 조직관리에서 전략적 사고와 행동을 중시한다. 전략적 기획은 조직에 중대한 변화 또는 차별화를 가져오려는 생각과 행동이다(Koteen, 1989). 전략적 기획은 조직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비판적 사고, 최적화, 동기 부여의 원동력이자 결과이다. 전략적 기획은 시스템 사고, 개인 및 조직 학습, 멘탈 모델, 공유 비전 구축 및 팀 형성 등을 통한 개인과 조직의 발전을 위한 과정이다.
기타 특성
- 전략적 기획은 단순한 계획이 아니다.
일반적인 계획은 조직이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을 명확하게 구분하지 않고, 왜 그 일을 해야 하는지를 설명하지 않는다. 그러나 전략적 계획은 정책이나 프로그램의 목적이나 목표를 왜 달성해야 하는지를 설명한다(Martin, 2014).
- 전략적 기획은 조직의 리더십을 위한 수단이지 리더의 판단을 대신할 수 없다.
망치와 같은 도구가 책장을 만들지 못하는 것처럼 전략적 계획의 데이터 분석 및 의사 결정 도구가 결정을 내리지 못한다. 전략적 계획은 사람들이 조직의 업무에 가져오는 직관, 추론 기술 및 판단을 뒷받침할 뿐입니다. 관리자는 일을 제대로 하는 사람이고, 리더는 옳은 일을 하는 사람이다. 리더십의 도구로서, 성공적인 전략적 계획 과정은 조직이 "우리가 옳은 일을 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을 하도록 장려한다(Allison & Kaye, 2015)
- 전략적 기획은 전통적인 중장기 계획과는 다르다.
1950년대 이후 국가발전의 수단이 되었던 장기적인 경제개발계획과 전략적 계획은 다르다. 장기계획은 그것이 추구하는 미래를 현재의 지식을 바탕으로 예측하나 기획은 예측한 미래의 경향을 바탕으로 구성한다. 인식론적으로 전략적 기획은 귀납적이고 질을 강조하지만, 장기기획은 연역적이고 양을 강조한다. 그리고 미래는 예측할 수 없는 불확실한 존재임을 인식한다.
- 전략적 기획과 합리적 계획은 다르다.
합리적 계획은 최적의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나 전략적 계획에서는 정답이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전략적 기획을 위해 합리적인 분석과 창의적인 센스메이킹이 모두 필요하다.
- 전략적 기획은 선형 기획이 아니다.
전략적 계획 수립은 원활하고 예측 가능한 선형 프로세스인 경우는 거의 없다. 전략적 계획은 여러 면에서 체계화되어 있지만, 일반적으로 한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원활하게 흐르지 않는다. 그것은 창조적인 과정이며, 융통성이 필요하다. 전략적 계획을 이해하기 쉽게 선형적 단계적으로 설명하나 실제에서는 순환적이고 반복적이고 때로는 후방적으로 진행되기도 한다.
- 전략적 계획이 전략적 사고와 행동을 대체할 수는 없다.
종종 전략적 계획이라는 보고서 작성을 전략적 기획의 목적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전략적 사고나 행동 없이 전략적 기획이 성공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즉 전략계획이 전략적 사고나 전략적 행동을 대체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